결혼식에 초대받았을 때 가장 고민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축의금입니다. ‘하객 축의금 얼마를 내야 적당할까?’ 하는 고민은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
축의금은 결혼을 축하하는 마음을 담은 금액이지만, 상대와의 관계, 결혼식 규모, 지역적 특성에 따라 금액의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매번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축의금의 기본 예절과 상황별로 적절한 금액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합리적인 축의금 가이드를 통해 고민을 덜어보면 좋겠습니다.
1. 축의금의 기본 개념
축의금은 결혼하는 신랑, 신부에게 주는 축하의 마음과 경제적 도움을 의미합니다. 결혼식에 참석하는 하객들은 축의금을 통해 예식 비용을 부담하고, 새로운 출발을 응원하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 축의금은 현금으로 준비하며, 깨끗한 지폐를 사용해 봉투에 넣어 전달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봉투에는 자신의 이름을 정중하게 기재하고, 보통 결혼식장 입구에서 접수대에 전달합니다.
출처: 축의금 나무위키
2. 관계별 하객 축의금 얼마 낼까?
친한 친구 또는 절친한 지인
친한 친구나 절친한 지인의 결혼식에는 조금 더 마음을 담은 금액을 내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5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가 일반적이며, 아주 친한 친구라면 10만 원 이상을 내기도 합니다. 친구가 결혼식 후에 신혼여행이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때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죠.
직장 동료나 상사
직장 동료나 상사의 결혼식에는 보통 5만 원에서 7만 원 정도가 적당합니다. 직급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같은 팀에서 오래 근무한 동료라면 10만 원을 내기도 합니다. 상사의 경우에는 10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다만 직장 내 규정이나 분위기에 따라 금액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친척나 가족
가족이나 가까운 친척의 결혼식에는 일반적으로 10만 원에서 30만 원 이상을 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특히 사촌, 조카, 조카딸처럼 가까운 친척의 경우, 금액이 20만 원에서 50만 원 이상으로 올라가기도 합니다. 형제자매의 결혼이라면 더 큰 금액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인의 지인 가벼운 관계
신랑, 신부와 특별히 친하지 않은 경우, 보통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의 축의금이 적당합니다. 예를 들어, 지인의 친구나 동료의 결혼식에 초대받았을 때는 예의상 최소한의 축의금을 전달하면 됩니다.
가족 단위로 참석할 경우
부부가 함께 결혼식에 참석하거나 아이와 함께 참석하는 경우, 식사 비용과 예식을 고려해 10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를 내는 것이 예의입니다. 인원이 늘어난 만큼 금액도 조금 더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3. 축의금 전달 주의사항
깨끗한 지폐
축의금은 깨끗한 지폐를 준비하는 것이 기본 예의입니다. 은행에서 새 지폐로 바꿔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봉투에 이름 기재
축의금 봉투에는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정확하게 적어야 나중에 신랑, 신부가 감사 인사를 할 수 있습니다.

결혼식 참석 불가
부득이하게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축의금을 전달하고 축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4. 축의금 감사 인사
손편지나 카드정성이 담긴 손편지나 카드는 하객에게 깊은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결혼식에 큰 도움을 준 친구, 가족, 은사님 등 특별한 사람들에게 손편지를 보내면 기억에 남을 감사 인사가 됩니다.로 감사 인사
또한 직접 전화로 인사하는 것은 진심을 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특히 가까운 친척, 직장 상사, 연로하신 어르신들에게는 전화로 감사 인사를 드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5. 축의금 정리 방법
결혼식 후 축의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신랑, 신부의 중요한 사후 관리입니다. 축의금 봉투에 적힌 이름과 금액을 하나씩 확인하며 기록하시기 바랍니다.
엑셀 시트나 가계부 앱을 활용해 하객의 이름, 금액, 관계, 연락처를 입력하면 나중에 감사 인사를 할 때 유용합니다.
축의금을 전달한 순서나 금액에 따라 별도의 메모를 남기면 향후 경조사에 답례할 때 도움이 됩니다. 받은 축의금은 결혼식 비용과 신혼 생활에 사용될 예산과 비교해 수입과 지출을 명확히 파악하고, 혹시 모를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 은행에 입금하거나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